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환율상승이 직장인에게 미치는 영향 (해외직구, 여행비용, 금융투자)

by 배불뚝이 외계인 2025. 8. 7.
반응형

안녕하세요? 경제를 공부하는 외계인입니다. 이번 포스팅도 환율에 관한 포스팅입니다.

2025년 8월, 원달러 환율은 여전히 1300원 후반에서 1,400원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몇 년 전만 해도 드물었던 수치지만, 이제는 뉴스에서 환율 이야기가 일상이 되었죠.

 

이런 흐름 속에서 저 같은 직장인들도 체감하는 변화가 적지 않습니다. 해외 직구 가격이 오르고, 여름휴가로 떠나는 해외여행 경비가 배로 들며, 금융 투자에서도 환율은 새로운 리스크 요인이 되었습니다. 즉 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비용부담이 크겠죠.  오늘은 환율 상승이 우리 일상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특히 저 같은 직장인의 입장에서 구체적으로 짚어보겠습니다.
 

공항에서 비행기 기다리는 사람
공항

환율상승이 직장인에게 미치는 영향

환율이 직장인에게 미치는 영향이 얼마나 될까요? 별다른 영향이 없을 것 같다고 생각하시는 분도 계실지 모르겠지만 환율이 오르면 일단 우리 일상생활에서 서서히 변화가 일어납니다. 일단 국제 유가와 상관없이 기름값이 오를 수 있습니다. 달러로 거래를 하기 때문에 국제 유가가 떨어져도 환율 상승으로 상쇄되어 기름값이 오르거나 아님 비슷한 가격대를 유지합니다. 

 

또한 수입품에 대한 비용 상승으로 인해서 물가가 오릅니다. 항공기 티켓 가격, 해외 여행등 나와는 상관없다고 생각하지만 서서히 우리 생활에 직간접 적으로 영향을 줍니다.

해외직구 (비용 상승)

저의 직장동료 김과장은 예전엔 점심시간에 커피 한 잔 하며 스마트폰으로 직구 사이트 둘러보는 게 소소한 즐거움이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환율이 치솟으면서 해외 쇼핑이 더 이상 ‘가성비’로 통하지 않게 되었다며 하소연하네요.


2025년 현재 원·달러 환율은 1,400원 안팎. 여기에 카드 수수료, 관세, 부가세까지 더하면 실제 체감 환율은 1,500원에 육박합니다. 예를 들어, 100달러짜리 스니커즈를 직구하려고 하면 결제 금액이 약 15만 원 이상으로 뛰게 되죠.
직장인들에게 해외직구는 단순한 소비가 아니라 ‘작은 보상’이자 ‘취미’였던 경우도 많습니다. 하지만 환율 부담이 커지면서 구매를 망설이게 되고, 대체로는 국내 제품으로 눈을 돌리거나 구매 자체를 미루는 경우가 늘고 있다고 합니다.

여행비용

저 같은 직장인들에게 여름휴가는 일 년치 스트레스를 날리는 중요한 이벤트입니다. 특히 해외여행은 계획만으로도 설레는 일이지만, 요즘은 그 설렘보다 '환율 계산기'부터 켜보게 됩니다.


2025년 현재 항공료는 팬데믹 이전보다 오른 상태고, 여기에 고환율이 겹치면서 전체 여행 경비가 평균 20~30% 이상 상승했습니다. 특히 유럽이나 미국처럼 달러 또는 유로를 사용하는 지역은 환전만으로도 부담이 큽니다.
그나마 엔화나 동남아 통화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이어서 가까운 아시아권으로 여행지를 바꾸는 동료들도 많아졌습니다. 또한 출장비 정산, 법인카드 환율 계산 등 회사 내부 프로세스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어, 직장인 입장에서 환율은 일과 삶 양쪽 모두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셈입니다.

금융투자

2025년 현재, 주식·ETF·해외채권 등 다양한 자산에 투자하는 직장인 서학개미가 많습니다. 저도 미국주식 투자에 관심이 많은데 환율 때문에 시도 조차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환율 상승은 이런 투자 수익률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일반적으로 원화 약세는 달러 자산에 투자한 사람에게는 유리합니다. 하지만 반대 상황도 충분히 가능하고, 실제로는 수익보다 손실이 더 커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예를 들어, 환율이 높을 때 달러로 자산을 사두었다가 환율이 다시 내려가면, 평가금액은 줄어들게 됩니다. 또한 외국인 투자자의 자금 유출로도 이어져, 국내 증시에도 악영향을 미칩니다.


일부 저 같은 직장인은 환테크를 목적으로 달러예금이나 외화 적금에 가입하고 있지만, 이런 상품도 시기를 잘못 맞추면 오히려 손해가 날 수 있습니다. 


환율 상승은 단순히 수출입 기업만의 문제가 아닌 대한민국 직장인, 소상공인, 투자자등에게도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작게는 점심시간의 직구 쇼핑부터, 여름휴가 계획, 월급으로 하는 금융투자까지. 이 모든 영역에 환율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 같습니다. 환율을 잘 모니터링하고 상승 하락이유를 잘 정리한다면 투자의 기회가 열릴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듭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부탁 드립니다.

반응형